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탈모치료제 건강보험 적용을 공약으로 검토하고 나선 것을 계기로
연간 1천200억원 규모에 달하는 국내 탈모 치료제 시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5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천150억원대 규모인 한국 탈모 치료제 시장은
'피나스테리드'와 '두타스테리드' 두 성분의 제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데요,
피나스테리드 성분은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최초의 경구용 탈모치료제로, 국내에는 2000년 다국적 제약사 MSD가 오리지널 의약품 '프로페시아' 출시로 처음 도입됐다고 합니다.
현재는 MSD에서 분사된 오가논이 내고 있는 프로페시아는 출시 후 줄곧 시장 1위를 지키고 있으며, 이 약의 국산 제네릭(복제약) 중에서는 JW신약의 '모나드'가 선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해요.
두타스테리드는 FDA에서 전립선비대증 치료제로 승인받았지만, 한국에서는 발모 적응증(치료범위)을 인정받아 탈모치료제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다만 이 치료제들은 장시간 꾸준히 사용해야 하며, 치료 중단 시 탈모가 재발할 수 있는 등 효능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프로페시아는 한 달에 5만∼6만원, 아보다트는 한 달에 3만∼4만원이 들어 장기 복용에 따른 가격 부담이 만만치 않습니다.
제네릭을 복용한다고 해도 여전히 연간 수십만원이 든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복용 환자가 늘어나는 탈모약 건강보험 적용을 대선 공약에 포함하는 방안이 뜨거운 호응을 얻은 이유이기도 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최근 통계를 보면 2020년 탈모 환자는 23만3천여명으로, 2016년 21만2천명보다 약 10% 증가했고
연령대별로 보면 30대가 전체의 22.2%로 가장 많았으며, 40대와 20대가 각각 21.5%와 20.7%로 그 뒤를 이었다고 하네요.
사실 탈모가 진행되어 가는 과정은 본인도 본인이지만, 옆에서 지켜보는 가족이 먼저 알아 차리게 되는 것 같아요.
본인 스스로도 머리카락이 얇아진다고는 느끼지만, 탈모가 오고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는 쉽지가 않은것 같더라구요.
저희 남편도 그랬구요. 언젠가부터 새치 염색 할때마다 유독 두피가 더 드러나 보이기도 하고, 머리카락에 힘이 없어
진건 그전부터 진행되어 왔으니까요.
결국 재작년(2020년) 가을, 가까운 피부과에 가서 검사 받고 탈모약 처방전을 받고야 말았답니다.
프로페시아를 처방 받았는데 아시다시피 약값이 사악하지요.
엄한 돈이 나간다는 생각이 문뜩 들었지만, 안그래도 밖에 나가 고생하는 남편 머리마저 휑~하면 너무 안스럽잖아요.
까짓꺼 외식 하번 줄이고 말면 될 것을.......
사실 직구를 통해 가품 탈모약을 더 싼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는 정보를 얻었지만, 아직까지는 의심이 좀 가기도 하구요,
어찌됐건 정품 탈모약으로 먹어야 안심이 된다랄까요?
어쨌든 이번 이재명 대선 후보의 탈모약 건강 보험료 적용 공약은 천만 탈모인들에게, 그리고 탈모인을 남편으로 둔
와이프들에기도 희소식이 아닐 수 없네요.
그러나 언제나 한켠에서는 반대 의견도 있는 법이죠.
누군가는 이 제도 자체가 말도 안되는 선심성 공약이다라는 말도 들리구요, 이 정책이 통과되면 결국 건강 보험료가
더 오르게 될거라는 전망도 있더라구요.
또 어떤 이는 탈모인을 우롱하는 정책이다,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고 저 정책이 나오는 순간 반대 의견을 가진
탈모약 공급사 측에서는 차후대책을 벌써 마련하고 있을거라고도 하네요.
어찌됐던 손해 보는 장사는 하기 싫은게 제약업체겠죠.
일단, 지켜 볼랍니다.
저는 일단 찬성이거든요!
우리 남편의 모발은 소중하니까요~~~~
'세상 들여다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부터 QR·안심콜·수기명부 등 출입명부 사용 중단/ 영업시간 제한 9시→10시 연장 사적모임 6인 지속 (0) | 2022.02.18 |
---|---|
왜 실격이죠? 베이징 올림픽 쇼트트랙 1000m 황대헌 이준서의 어이없는 탈락!! (0) | 2022.02.07 |
해외 결제, 난 한적이 없는데? 스미싱 문자 3초만에 확인하는법 (3) | 2021.12.29 |
소상공인 100만원 지급, 방역지원금 신청 어떻게 하나? (0) | 2021.12.27 |
러브스토리만 늘어 놓은 김건희 기자회견, 여론 '냉무'(내용없음) 기자회견이 따로 없다 (0) | 2021.12.26 |